유도기
유도 전동기의 사용 이유 및 특징
- 유도 전동기의 사용 이유
- 전원 획득이 쉬움
- 구조가 간단하고, 저렴하며, 튼튼함
- 취급이 용이함
- 부하 변화에 대해 거의 정속도 특성을 가짐
- 농형과 권선형 비교
- 농형
- 구조가 간단, 보수가 용이
- 효율이 좋음
- 속도 조정이 곤란
- 기동 토크가 작아 대형이 되면 기동이 곤란
- 권선형
- 중형과 대형에 많이 사용
- 기동이 쉽고, 속도 조정이 용이
- 농형
슬립
전동기 전부하에 있어 속도 감소의 동기속도에 대한 비율
- 슬립: $s=\dfrac{N_{s}-N}{N_{s}}\times 100$
- 상대속도: $sN_{s}=N_{s}-N$
- 회전자속도(전동기속도): $N=(1-s)N_{s}[\textsf{rpm}]=(1-s)\dfrac{120f}{p}[\textsf{rpm}]$
- 유도 전동기: $0<S<1$
- 유도 제동기: $1<S<2$
정지 시와 회전 시 비교
정지 시 | 회전 시 |
---|---|
$E_{2}$ | $E_{2s}=sE_{2}$ |
$f_{2}$ | $f_{2s}=sf_{2}$ |
$I_{2}$ | $I_{2s}=\dfrac{E_{2s}}{Z_{2s}}=\dfrac{sE_{2}}{\sqrt{r_{2}^2}+\left(sx_{2}\right)^{2}}=\dfrac{E_{2}}{\sqrt{\left(\frac{r_{2}}{s}\right)^{2}+x_{2}^{2}}}$ |
유도 전동기 전력변환
- 전력변환 관계식: $P_{2}:P_{c2}:P_{0}=1:s:(1-s)$
- $P_{c2}=sP_{2}$
- $P_{0}=(1-s)P_{2}$
- $P_{c2}=\dfrac{s}{1-s}P_{0}$
- 2차 효율 $\eta =\dfrac{P_{0}}{P_{2}}=1-s=\dfrac{N}{N_{s}}=\dfrac{w}{w_{0}}$
유도 전동기의 토크 특성, 토크와 슬립의 관계
- $T=\dfrac{P_{2}}{W_{s}}=\dfrac{P_{2}}{2\pi\dfrac{N_{2}}{60}}=\dfrac{P_{2}}{\dfrac{2\pi}{60}\times \dfrac{120f}{p}}=\dfrac{P_{2}}{\dfrac{4\pi f}{p}}$
$\quad =9.55\dfrac{P_{2}}{N_{s}}[\textsf{N}\cdot\textsf{m}]=0.975\dfrac{P_{2}}{N_{s}}[\textsf{kg}\cdot\textsf{m}]$ - $T=\dfrac{P_{0}}{W}=\dfrac{P_{0}}{2\pi\dfrac{N}{60}}=\dfrac{P_{0}}{\dfrac{2\pi}{60}(1-s)N_{s}}$
$\quad =\dfrac{P_{0}}{\dfrac{2\pi}{60}(1-s)\times\dfrac{120f}{p}}=\dfrac{P_{0}}{(1-s)\dfrac{4\pi f}{p}}$
$\quad =9.55\dfrac{P_0}{N}[\textsf{N}\cdot\textsf{m}]=0.975\dfrac{P_{0}}{N}[\textsf{kg}\cdot\textsf{m}]$ - 최대 토크슬립
$s_{t}=\dfrac{r_{2}}{x_{2}}$ -
최대 토크
$T=\dfrac{P_{2}}{\omega_{s}}=\dfrac{m_{2}}{\omega_{s}}E_{2}I_{2}\cos{\theta_{2}}$
$\quad =KE_{2}\times\dfrac{sE_{2}}{\sqrt{r_{2}^{2}+\left(sx_{2}\right)^{2}}}\times\dfrac{r_{2}}{\sqrt{r_{2}^{2}+\left(sx_{2}\right)^{2}}}$
$\quad =K\dfrac{sE_{2}^{2}\cdot r_{2}}{r_{2}^{2}+\left(sx_{2}\right)^{2}}$- $T\propto V^{2}$
- $S\propto\dfrac{1}{V^{2}}$
비례 추이의 원리: 권선형 유도 전동기
- 비례 추이의 특징
- 최대 토크$\left(\tau_{max}=K\dfrac{E_{2}^{2}}{2x_{2}}\right)$는 불변, 최대 토크의 발생 슬립은 변화
- 기동전류는 감소, 기동 토크는 증가
- $\dfrac{r_{2}}{s}=\dfrac{r_{2}+R}{s’}$ ($s$: 전부하 슬립, $s’$: 기동슬립, $R$: 2차 외부저항)
- 기동 시 전부하 토크와 같은 토크로 기동하기 위한 외부저항
$R=\dfrac{1-s}{s}r_{2}$ - 기동 시 최대 토크와 같은 토크로 기동하기 위한 외부저항
$R=\dfrac{1-s_{t}}{s_{t}}r_{2}=\sqrt{r_{1}^{2}+\left(x_{1}+x_{2}’\right)^{2}}-r_{2}’\fallingdotseq\left(x_{1}+x_{2}’\right)-r_{2}’[\Omega]$ - 비례 추이할 수 없는 것: 출력, 2차 효율, 2차 동손
Heyland 원선도
- 원선도 작성에 필요한 시험
- 저항 측정
- 무부하(개방) 시험: 철손, 여자 전류
- 구속(단락) 시험: 동손, 임피던스 전압, 단락전류
- 원선도에서 구할 수 없는 것: 기계적 출력, 기계손
유도 전동기의 기동법 및 속도제어법
- 기동법
- 농형 유도 전동기
- 전전압 기동(직입기동): $5\textsf{HP}$ 이하($3.7\textsf{kW}$)
- $Y-\Delta$ 기동($5$~$15\textsf{kW}$)급: 전류 $1/3$배, 전압 $\frac{1}{\sqrt{3}}$배
- 기동 보상기법: 단권 변압기 사용 감전압 기동
- 리액터 기동법(콘도르파법)
- 권선형 유도 전동기
- 2차 저항 기동법 비례 추이 이용
- 게르게스법
- 농형 유도 전동기
- 속도제어법
- 농형 유도 전동기
- 주파수 변환법
- 역률이 양호하여 연속적인 속도 제어가 되지만, 전용 전원이 필요
- 인견, 방직 공장의 포트모터, 선박의 전기추진기
- 극수 변환법
- 전압 제어법: 공극 전압의 크기를 조절하여 속도 제어
- 주파수 변환법
- 권선형 유도 전동기
- 2차 저항법
- 토크의 비례 추이를 이용
- 2차 회로에 저항을 삽입해 토크에 대한 슬립을 바꾸어 속도 제어
- 2차 여자법
- 회전자 기전력과 같은 주파수 전압을 인가하여 속도 제어
- 고효율로 광범위한 속도 제어
- 종속접속법
- 직렬종속법: $N=\dfrac{120}{P_{1}+P_{2}}f$
- 차동종속법: $N=\dfrac{120}{P_{1}-P_{2}}f$
- 병렬종속법: $N=2\times\dfrac{120}{P_{1}+P_{2}}f$
- 2차 저항법
- 농형 유도 전동기
단상 유도 전동기
- 종류(기동 토크가 큰 순서)
반발 기동형 > 반발 유도형 > 콘덴서 기동형 > 분상 기동형 > 셰이딩 코일형 > 모노사이클릭형 - 단상 유도 전동기의 특징
- 교번자계가 발생
- 기동 시 기동 토크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기동 장치가 필요
- 슬립이 0이 되기 전에 토크가 미리 0이 됨
- 2차 저항이 증가하면 최대 토크는 감소(비례 추이 불가)
- 2차 저항값이 어느 일정값 이상이 되면 토크는 (-)가 됨
유도 전압 조정기(유도 전동기와 변압기의 원리를 이용한 전압 조정기)
종류 | 단상 유도 전압 조정기 | 3상 유도 전압 조정기 |
---|---|---|
전압 조정 범위 | $\left(V_{1}-E_{2}\right)$ ~ $\left(V_{1}+E_{2}\right)$ | $\sqrt{3}\left(V_{1}-E_{2}\right)$ ~ $\sqrt{3}\left(V_{1}+E_{2}\right)$ |
조정 정격 용량[$\textsf{kVA}$] | $P_{2}=E_{2}I_{2}\times 10^{-3}$ | $P_{2}=\sqrt{3}E_{2}I_{2}\times 10^{-3}$ |
정격 출력(부하)[$\textsf{kVA}$] | $P=V_{2}I_{2}\times 10^{-3}$ | $P=\sqrt{3}V_{2}I_{2}\times 10^{-3}$ |
특징 | - 교번자계 이용 - 입력과 출력 위상차 없음 - 단락 권선 필요 |
- 회전자계 이용 - 입력과 출력 위상차 있음 - 단락 권선 필요 없음 |
- 단락 권선의 역할: 누설 리액턴스에 의한 2차 전압 강하 방지
- 3상 유도 전압 조정기 위상차 해결 대각유도전압 조정기
특수 유도 전동기
- 이중 농형: 기동 토크가 크고, 기동 전류가 작으며(기동 특성 우수), 열이 많고 효율이 낮음
- 바깥 권선(기동 권선): $R$(大), $X$(小)
- 안쪽 권선(운전 권선): $R$(小), $X$(大)
- 딥 슬롯: 효율, 역률이 좋고 구조가 간단함
유도 전동기의 시험
- 부하 시험
- 다이나모 미터
- 프로니 브레이크
- 와전류 제동기
- 슬립 측정
- DC 밀리볼트계법
- 수화기법
- 스트로보스코프법
- 회전계법
이 기사는 저작권자의 CC BY 4.0 라이센스를 따릅니다.